올해 초까지만 해도 마비노기를 잘 하지 않아서 선물받은 미니 PC를 일퀘용으로 잘 사용했었다.
그리고 최근 회사 지인들이 마비노기를 시작하면서, 던전을 돌아주는 용도로 3080 중고 PC를 아주 싸게 들여왔다.
그렇게 미니 PC는 받은 그대로 포장되어 팬트리에 저장당했다.
미니 PC가 비록 선물 받은거지만 계속 안쓸 것 같아 중고로 팔려고 검색해보았다.
램 8 기가인게 구매대행으로 20만원이였다.
선물 받은 PC는 램 16기가, SSD 512기가여서 16만원에 당근으로 내놓으면 금방 팔릴 꺼라 생각했다.
하지만 늘 그렇듯, 당근 거지들이 가격 후려치기 + 질문 세례를 쏟아냈다.
의미 없는 네고질에 질려서 가격을 내리고 있던 찰나, 전파관리소에서 연락이 왔다.
검색해보니 정말 전파법 위반에 해당되는 내용이였고, 아직 판매를 안했으니 괜찮겠지 싶어 게시글을 삭제했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메세지가 왔다.
전화를 해보니, 누군가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접수했기에 사건 진행이 되어야하며 이후 게시글을 지워도 위반 여부는 같다고한다.
처벌을 원치 않으면, 진술서를 쓰면 1회는 선처를 해준다기에 방문하겠다고 답변했다. (사실 방문 말고는 답이 없다)
대전전파관리소까지는 자차를 이용했기에 세종에서 50분정도 걸렸다. 근처 지하철 역은 갈마역이 있다.
테니스장까지 구비되어있고 점심 시간에 테니스를 치는 공무원들이 있는 걸 보면, 나름 직급이 높은 기관 같았다.
입구에서 신분증을 보여주고 출입증을 받아야한다. (방문 당일에는 출입증없이 경비원분이 문을 열어줌)
올라가면 건물 2층에 해당 부서가 있으며 조서실에 들어가서 진술서를 작성해야한다.
초범(?)이여서 진술서만 받고 사건은 종료되었지만 다음에 한번 더 위반하면 앞선 사례와 함께 처벌된다고 했다.
개인이 인증없이 구매한 직구 물건은 1년이 지나야 거래가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이를 증빙할 자료도 있어야한다.
결국은 KC 인증이 문제인데, 국내에서 사업하는 사람들은 이 인증을 돈내고 받아서 유통 마진을 붙여서 장사를 한다고 한다.
그러니 상대적으로 직구로 구매한 물건이면 마진을 더 붙일 수 있거나 더 싸게 판매가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인증 받은 사람들이 손해를 본다...이게 핵심이다.
정작 거대 통신사인 SKT는 보안도 제대로 안되어있는 나라에서 고작 KC 인증이란게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데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sor : There was error while Renaming: "tools": (0) | 2025.03.01 |
---|---|
예비군훈련 교육 필증 받는 방법 (0) | 2025.02.21 |
스포티파이(Spotify) 결제 환불받는 방법 (2)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