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llus Player V3

 

Code : 1002 화면 녹화 또는 캡쳐 프로그램이 감지되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하신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Chrome Remote Desktop ID : inomeogfingihgjfjlpeplalcfajhgai

 

점심 먹고 나른한 화요일 오후, 온라인 강의 좀 들으려고 했다가 겪게된 고초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

 

1. Chrome Remote Desktop 서비스 중지

윈도우키를 눌러 service로 검색하고 service 앱을 실행한다.

service 검색

목록에서 'Chrome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를 찾아 중지시킨다.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중지

 

2. Chrome 백그라운드 앱 실행 중지

Chrome(크롬) 우측 상단에 메뉴를 클릭하여 설정을 누른다.

크롬-> 우측 상단 : -> 설정

시스템 탭에 들어가 백그라운드 앱을 계속 실행을 끈다.

설정->시스템->백그라운드 실행 (끄기)

 

3. 파이어폭스를 설치한다.

링크

브라우저만 설치한다.

 

리눅스할때는 많이 썼던 브라우저인데 이런 문제가 있을때마다 꺼내쓴다

 

4. 재부팅한다.

여기서부터 아주 중요하다.

재부팅하고 chrome(크롬) 을 실행하지 않고 파이어폭스를 실행한다.

이제 chrome remote desktop 저주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단, 중간에 실수라도 chrome(크롬)을 킨다면 다시 원점이다.

화면 녹화/캡쳐를 방지하고자 만든 기능이겠지만, 웃기게도 윈도우 화면 캡쳐는 제대로 동작한다.

윈도우 프로그램 개발자는 참 알다가도 모르겠다.

+ Discord 도 감지되는 프로그램이지만 그냥 끄면 해결되는 부분이다.

디스코드에는 화면 공유 있어서 그럼

디스코드도 잠시 꺼두자

 

회사 밖이나 회의시에는 맥북을 사용 중이다.

주로 재택할 때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세종시립도서관에서..

 

주 개발은 윈도우에서 하기에 원격으로 들어가서 작업을 한다.

윈도우에서는 맥북 키보드의 오른쪽 옵션 키를 한/영 변환키로 인식한다.

 

한참 작업하다가 맥북에서 노션을 입력하노라면,

caps lock 키 혹은 control + space 을 입력해야하기에 어색함과 불편함이 있다.

 

그럼, 평소에도 맥북에서 오른쪽 커맨드 키를 한/영 변환으로 사용할 수 없을까?

시스템 설정->키보드->키보드 단축키

 

시도 해봤는데, 오른쪽 커맨드를 입력 받을 수가 없다.

 

조금 찾아보니 해당 키를 가상 키보드처럼 바꿔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https://karabiner-elements.pqrs.org

 

Karabiner-Elements

Karabiner-Elements A powerful and stable keyboard customizer for macOS. Download v15.3.0 Toggle Dropdown Download v15.3.0 For macOS 15 Sequoia For macOS 14 Sonoma For macOS 13 Ventura Download v14.13.0 For macOS 12 Monterey For macOS 11 Big Sur Download v1

karabiner-elements.pqrs.org

설치하고 실행을 해보자.

이 녀석을 실행해주자.

 

권한과 관련되어 여러 설정들이 필요하다.

먼저, 입력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toggle 버튼을 on 으로 해주자.

karabiner_grabber 를 on 이 되도록 조정해준다.

그리고, 다시 카라비너를 실행하면 키보드 타입을 선택해달라고 한다.

ANSI를 선택한다.

ANSI 를 선택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이 되도록 설정을 켜준다

마지막으로,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에서 가상 키보드도 연결해준다.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

 

각종 권한 설정을 마치고, 아래의 예시처럼 가상의 키를 할당한다.

오른쪽 커맨드 키를 F13으로 할당

 

그리고 앞서 키보드 단축키로 돌아가서 오른쪽 커맨드를 입력하면 F13이 입력된다. 

이전 입력 소스 선택을 오른쪽 커맨드로 설정

 

이제 오른쪽 커맨드 키를 한영 변환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독 중이지만 스포티파이(Spotify)를 3개월 무료체험으로 운전 중에만 가끔씩 듣고 있었다.

스포티파이에는 팟캐스트가 있어서 일본어 잡담 등 운전 중 귀가 심심할때 듣기에 참 좋았다.

그리고 지난 5월 5일에는 3개월 무료체험이 끝나 정기 결제가 되었다.

으악

 

6일까지 대체 휴일이여서 7일인 오늘에서야 확인을 했다.

 

유튜브 뮤직이 있기에 가끔 듣는 스포티파이에 정기 결제를 하는건 낭비라는 생각이 들어 환불을 요청하려고 찾아봤다.

다른 게시글에서는 결제 이후 사용 내역이 없어야 환불이 된다고 하는데 환불 정책을 찾아봐도 그런 내용은 없었다.

 

먼저, PC 버전에서 로그인하여 사용 중인(혹은 체험 중인) 구독 해지를 한다. 그리고 문의하기를 들어간다.

Spotify 에 문의하기

 

그럼 챗봇 혹은 상담원에게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대화 시작하기를 눌러 환불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보낸다.

5일 이후 몇일은 사용을 했기에 부분 환불을 요청한다고 보냈다.

 

((양심))

 

그러면 최근 결제 내역을 보내주며 환불 하기를 원하냐는 메세지를 보내온다.
부분 환불은 정책에 없는지 전체를 환불을 해줬다.

 

 

바로 환불 해줌

 

검색하면서 다른 게시글을 보니 예전에는 상담원과 영어로 소통해야하는 불편함이 조금은 있었던 것 같다.

요즘에는 시대가 발달한 덕에 챗봇도 덩달아 발달이 되어 보다 편리해졌다.

요즘은 구독을 해야하는 서비스들이 많아 하나라도 줄여서 돈을 아껴야 한다.

+ Recent posts